최신글
-
2025. 09. 05. '중견종합건설업체' 회생강제인가 사례
2025. 09. 05. 법인회생강제인가 - 수원회생법원 1. 기업개요 가. 설립 목적 및 연혁 채무자회사는 2000년 4월 토목 및 건축공사업을 주된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이며, 본점은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다. 설립 이후 국내 주요 도시개발사업 및 공공·민간 건축 프로젝트에 다수 참여해 왔다. 채무자회사는 대형 플랜트, 물류센터, 공동주택 등 중·대규모 시공 경험을 축적해 오며, 중견 종합건설사로서의 입지를 확립하였다. 현재 채무자회사의 자본금은 142억 원이며, 발행주식 총수는 2,840,000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전량을 A사가 보유하고 있어 100% A사의 자회사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지배구조는 1차 회생절차 이후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다. 채무자회사는 인가 전 M&A를 통하여 신규..
2025.10.17
-
법인회생개시 후 특수관계인의 대위변제
제4조(특수관계인) 법 제101조제1항, 법 제218조제2항 각 호 및 법 제392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범위의 특수관계에 있는 자”라 함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2. 본인이 법인 그 밖의 단체인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가. 임원 나. 계열회사(「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에 따른 계열회사를 말한다) 및 그 임원 다. 단독으로 또는 제1호 각 목의 관계에 있는 자와 합하여 본인에게 100분의 30이상을 출자하거나 임원의 임면 등의 방법으로 본인의 주요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개인 및 그와 제1호 각 목의 관계에 있는 자와 법인 그 밖의 단체(계열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호에서 같다) 및 그 임원 라..
2025.10.17
-
견련파산의 상계권
견련파산은 회생절차가 폐지되어 파산절차로 이행되는 경우를 말한다. 채무자회생법 제6조 제1항에 따르면, 파산선고를 받지 아니한 채무자에 대하여 회생계획인가가 있은 후 회생절차 폐지의 결정이 확정된 경우, 법원은 그 채무자에게 파산의 원인이 되는 사실이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직권으로 파산을 선고하여야 한다. 제6조(회생절차폐지 등에 따른 파산선고) ①파산선고를 받지 아니한 채무자에 대하여 회생계획인가가 있은 후 회생절차폐지 또는 간이회생절차폐지의 결정이 확정된 경우 법원은 그 채무자에게 파산의 원인이 되는 사실이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직권으로 파산을 선고하여야 한다. ②파산선고를 받지 아니한 채무자에 대하여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결정이 확정된 경우 법원은 그 채무자에게 파산의 원인이 되는 ..
2025.09.23
-
2025. 08. 27. '캐릭터업체 대표' 회생인가 사례
2025. 08. 27. 일반회생인가 - 의정부지방법원 1) 개요 채무자는 2015년 '캐릭터 상품업체'를 설립하였는데, 업체는 2016년 이후 세계적 캐릭터 기업과 국내 아이돌 그룹의 글로벌 라이선스를 확보하며 사업을 확장하여 2020년에는 매출 50억 원을 돌파하고, 2022년에는 100만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사업 확장 과정에서 발생한 금융차입 등으로 유동성이 악화된 업체는 의정부지방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하였고, 2025. 06. 18. 채무조정에 대한 회생계획에 대하여 채권자들로부터 동의를 받아 법원으로부터 인가결정까지 받았다. 다만 업체의 회생신청에 따라 업체의 채무에 대하여 연대보증을 한 채무자의 채무 부담이 현실화되면서 채무자의 재정 상태도 파탄에 이르렀다. 2)..
2025.09.22
-
법인파산/회생의 상계권 비교
상계는 채권자와 채무자가 서로 동종의 채권·채무를 가지는 경우에 그 채권과 채무를 대등액에 있어서 소멸하게 하는 일방적 의사표시를 말한다(민법 제492조). 도산절차에서 상계권은 실질적으로 담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채권자가 자신의 채무를 이행하면서도 채무자로부터 채권을 전액 변제받지 못하는 이중의 불이익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도산절차 중에서 ㉠재건형 절차로서 채무자의 계속 존속을 전제로 하는 '회생절차'와 ㉡청산형 절차로서 채무자의 재산을 환가하여 채권자에게 공평하게 배당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파산절차'는 그 목적과 성격이 다르므로 상계권 행사에 차이가 있다. 파산절차에서는 상계권을 광범위하게 인정하는 반면, 회생절차에서는 상계권에 일정한 제한을 두고 있는 것이다. ①신청단계에서..
2025.09.19
-
미발생구상채권의 현실화가능액과 의결권
미발생구상채권은 보증인이 주채무자를 위하여 보증계약을 체결하였으나 아직 보증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실제로 대위변제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구상권을 의미한다. 즉, 보증인이 채권자에게 대위변제를 하게 될 경우 주채무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잠재적인 구상권이다. 이러한 미발생구상채권은 '구상권 발생의 주요 원인'이 회생절차개시 이전에 발생하였다면 회생채권에 해당한다. 대법원 2011다109388 판결도 "보증보험계약 등이 회생절차개시 전에 체결되었다면, 구상권 발생의 주요 원인인 보증관계는 회생절차개시 전에 갖추어져 있는 것이므로, 보증계약 등에 근거한 구상권은 장래의 청구권으로서 회생채권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회생채권에는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138조 제2항이 규..
2025.09.16
-
2025. 08. 19. '건설업체' 회생강제인가 사례
2025. 08. 19. 법인회생강제인가 - 서울회생법원 1) 기업개요 채무자회사는 2007년 2월 설립된 종합건설사로, 본점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다. 자본금은 액면가 5,000원인 보통주 708,390주에 해당하는 35억 4천여만 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사는 설립 이후 토목, 건축, 주택건설 분야를 비롯해 전기·정보통신·소방시설·지하수개발·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건설업종을 영위하며 성장해왔다. 채무자회사의 사업 목적은 광범위하다. 단순한 건축 시공에 국한되지 않고 부동산 개발 및 임대, 사회간접자본시설 운영, 해외 건설,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를 통해 국내외에서 다수의 공공 및 민간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으며, 특히 물류센터 및 산업단지 조성 사업에 다수 참여한 이력이 있다...
2025.09.09
-
의결권과 의결권 이의
①채무자회생법에서 의결권은 회생절차에서 채권자, 담보권자, 주주·지분권자가 회생계획안의 가결 여부 등 중요 사항을 결정하기 위하여 가지는 권리를 의미한다. 이는 채권의 금전적 권리와는 별도로, 회생절차에서 인정되는 절차적 권리이며, 회생계획 인가 여부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한다. 제188조(의결권의 행사) ①확정된 회생채권 또는 회생담보권을 가진 회생채권자 또는 회생담보권자는 그 확정된 액이나 수에 따라, 이의없는 의결권을 가진 주주ㆍ지분권자는 목록에 기재되거나 신고한 액이나 수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②법원은 이의있는 권리에 관하여는 의결권을 행사하게 할 것인지 여부와 의결권을 행사하게 할 액 또는 수를 결정한다. ③법원은 이해관계인의 신청에 의하거나 직권으로 언제든지 제2항의 규정에 ..
2025.09.04
-
DIP금융과 법인회생
DIP(Debtor In Possession) 금융은 회생절차에 들어간 기업이 기업 운영에 필요한 신규 자금을 조달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는 미국 파산법에서 유래한 제도로, 한국에서는 채무자회생법 제179조와 제180조에 근거를 두고 있다. ㉠법원의 허가를 받아 차입한 자금은 일반채권이 아니라 공익채권으로 인정되며, ㉡2009년 개정을 통해 이러한 신규 차입금은 다른 공익채권보다도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수 있는 지위를 부여받는다. 종전에는 회생절차 중에 있는 기업의 신규차입자금을 공익채권으로 취급하도록 하였지만 공익채권 사이에는 우선순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어 기업 회생에 필요한 자금의 원활한 조달에는 한계가 있었으므로, 기업 회생에 필요한 운영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회생절차 중에 있는 기업에..
2025.08.27
-
2025. 08. 13. '발전기제조업체' 회생강제인가 사례
2025. 08. 13. 법인회생강제인가 - 서울회생법원 1) 기업개요 채무자회사는 2015년 12월 31일 설립되어 전동기 및 발전기 제조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주요 사업은 전기수배전반 조립 및 판매, 태양광 발전장치용 접속반 제작 등 전력기기 관련 분야이다. 회사는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여 2016년 공장등록 및 전기공사업 면허 취득, 2017년 특허 취득, 2018년 H중공업 협력사 등록, 2022년 L대기업협력사 등록 등을 통해 기술력과 시장 기반을 확보하였다. 2023년에는 공장을 확장 이전하여 생산 역량을 대폭 강화하였고, 여성기업 인증을 통해 공공조달시장 진출 기반도 마련하였다. 그러나 대규모 설비투자에 따른 금융부담이 가중되면서 재무구조가 악화되었다. 조사기준일 현재..
2025.08.20
-
2025. 07. 25. '반도체시험장비업체' 회생강제인가 사례
2025. 07. 25. 법인회생강제인가 - 수원회생법원 1) 기업개요 채무자회사는 1991년 설립된 반도체 및 2차전지 신뢰성 시험장비 제조업체로, 2010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 경기도 용인시에 본점을 두고 있으며, 산업용 오븐 및 시험기기 제조, 판매, 무역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채무자는 2003년 H대기업 파트너 체결, 2004년 우량 기술기업 선정 및 H대기업업 협력업체 체결, 2005년 L대기업 협력업체 체결, 2006년 기업부설 연구소 설립, 2007년 L대기업 협력업체 체결 등 꾸준히 사업을 확장해왔고, 2010년에는 벤처기업 등록, ISO 9001 인증을 획득했으며, 2018년에는 S대기업 1차 벤더 업체로 등록되었다. 2) 신청원인 채무자회사는 반도체, 2차전지 ..
2025.08.19
-
인가 후 직권파산과 회생재신청
①회생계획 인가 후 직권파산이란 회생계획 인가결정이 있은 후 회생절차 종결 이전에 회생계획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 명백하게 된 경우, 법원이 회생절차를 폐지하고 직권으로 파산을 선고하는 제도이다. 회생절차가 이미 종결된 경우에는 법원의 감독이 종료되므로 직권파산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법인회생 인가후 폐지 - 직권파산선고회생계획 인가결정이 있은 후 회생계획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 명백하게 된 때에 법원은 관리인이나 목록에...blog.naver.com 이는 채무자회생법 제288조와 제6조에 근거한 '견련파산'의 일종으로, 회생절차가 실패한 경우 신속하게 파산절차로 이행하여 채권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다. 제6조(회생절차폐지 등에 따른 파산선고) ①파산선고를 받지 아니한 채무자에 대하여 회생계..
2025.08.19
-
회생계획의 불이행
인가된 회생계획에 따라 채권자들의 권리는 변경되므로, 채무자는 회생계획에 따라 변경된 내용에 맞게 채권자들에게 채무를 이행해야 한다. 부터 효력이 생긴다(법 제246조). 따라서 결의를 위한 관계인집회..." data-og-host="blog.naver.com" data-og-source-url="https://m.blog.naver.com/min4win/223173731050" data-og-url="https://blog.naver.com/min4win/223173731050" data-og-image="https://blog.kakaocdn.net/dna/bAfEy3/hyZrv6BwBD/AAAAAAAAAAAAAAAAAAAAAMQVFG3qBcPEzidqKK-Bb-otqFAye8dKnQFFdAIncRw_/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1922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uo3qo9qaFSbv%2BO0t%2BTkaBiuHGcU%3D
2025.07.29
-
2025. 07. 24. '물류대행업체' 파산선고 사례
2025. 07. 24. 법인파산선고 - 수원회생법원 1) 기업의 개요 채무자회사는 2021년 12월 설립된 '냉동야채 물류대행업체'로, 경기도 안성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회사의 설립 목적은 냉동야채 물류대행업, 냉동야채 도·소매업, 농·수산물 물류서비스 및 유통업으로, 설립 이래 A냉동식품의 냉동식품을 소분·운송하여 주요 거래처에 납품하는 3자 물류(3PL) 업무를 수행해왔다. 그러나 2025년 4월경 A냉동식품으로부터 기존 조건보다 훨씬 불리한 조건으로 변경하여야 거래를 유지할 수 있다는 요구를 받으면서 사업 지속이 어려워졌고, 2025년 5월 31일부로 영업활동이 종료되었다. 종업원은 영업 종료 시점에 총 30명(정직원 12명, 일용직 18명)이 근무하고 있었으나, 영업 중단과 함께 전원 퇴사..
2025.07.25
-
2025. 07. 18. '철강도·소매업체' 회생강제인가 사례
2025. 07. 18. 법인회생강제인가 - 의정부지방법원 1) 기업개요 채무자회사는 2015년 3월 12일 설립된 철강재 제조 및 도·소매업체로서, 경기도 포천시에 본점을 두고 철근가공업, 형광류 도·소매업, 철강재 무역업, 운수업, 부동산 임대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2) 신청원인 2016년 철근 품귀 상황에서 채무자회사는 원활한 자재 확보를 위해 거래처에 3억 5천만 원을 선급하였으나, 해당 업체가 폐업함에 따라 선급금을 회수하지 못하였다. 이는 운전자본의 회수 불능으로 이어져, 자금 유동성이 악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2020년에는 관급 납품 원청사가 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채무자회사의 관급 매출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현금흐름도 악화되었다. 채무자회사는 대체 시장을 확보하려 하였지만 대체 시장 확..
2025.07.24
-
법인회생과 '공고로서 송달갈음'
공고와 송달은 법인회생절차에서 이해관계인에게 절차의 개시 및 주요 내용을 알리기 위한 중요한 통지수단이다. 채무자회생법은 ㉠포괄적 금지명령 관련 결정(제46조), ㉡회생절차개시 및 취소 관련 결정(제51조, 제54조), ㉢채권신고 및 조사관련 통지(제163조), ㉣관계인집회 소집 통지(제232조), ㉤회생계획안관련 통지(제232조) 등에 대하여 송달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송달 장소가 불분명하거나 알 수 없는 경우(ex. 수취인의 주소, 소재지 불명), ㉡송달에 시간이 오래 걸려 도산절차 진행이 현저히 지연될 우려가 있는 경우, ㉢공고만으로도 이해관계인의 권리 보호에 실질적 지장이 없는 경우(예: 주주의 경우)에는 송달의 실효성이 떨어지거나 절차가 지연될 우려가 있다. 특히 채권자가 다수이고 송달..
2025.07.22
-
2025. 07. 02. '가구제조업체' 파산선고 사례
2025. 07. 02. 법인파산선고 - 수원회생법원 1) 기업개요 : 채무자회사는 1997년 7월 개인기업으로 출발하였고, 2014. 07. 07. 법인 전환을 통해 현재의 상호로 운영되고 있다. 주된 사업은 일반가구 및 주방가구의 제조·판매업이며, 본사는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해 있다. 채무자회사는 2017년 전곡해양산업단지에 공장을 신축하고, 다수의 특허 등록과 ISO 인증, KS 인증을 취득하는 등 외형적인 성장 기반을 갖추었다. 한때 자본금을 9억 9천만 원까지 증자하였으나, 2019년 금융위기로 회생절차를 신청하여 2020년 회생계획 인가, 2021년 회생절차 종결 결정을 받았다. 이후에도 운영을 지속하였으나, 2025년 파산을 신청하게 되었다. 2) 신청원인 : 채무자회사는 2019년 원..
2025.07.15
-
2025. 06. 18. '캐릭터 상품업체' 회생인가 사례
2025. 06. 18. 법인회생인가 - 의정부지방법원 1) 기업개요 : 채무자회사는 2015년 1월 22일 설립된 법인으로, 본점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하고 있다. 주요 사업은 휴대폰 액세서리 제조 및 판매, 기타 인쇄업,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제조업, 인터넷판매업 등 다양한 제조 및 유통업을 포함한다. 특히 2016년부터 세계적인 캐릭터 기업 및 국내의 아이돌그룹 등의 글로벌 라이선스를 확보하여 캐릭터 상품 사업을 확장해 왔으며, 2020년에는 매출 50억 원을 돌파하고 2022년에는 100만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성장세를 보였다. 2) 신청원인 : 채무자회사의 사업모델은 K-POP IP, 특히 국내 특정 아이돌의 인지도를 기반으로 한 라이선스 상품의 제조 및 유통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이는..
2025.07.15
-
해산간주회사의 법인파산
해산간주회사란 상법 제520조의2에 따라 '최후의 등기(법인의 변경사항에 대한 마지막 등기)' 후 5년이 경과하여 법원행정처장의 공고에도 불구하고 '영업을 계속한다'는 신고를 하지 않아 해산된 것으로 간주된 회사를 말한다. 이러한 회사는 법적으로 해산상태에 있으나, 청산절차가 종결되지 않은 상태의 회사이다. 제520조의2(휴면회사의 해산) ① 법원행정처장이 최후의 등기후 5년을 경과한 회사는 본점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법원에 아직 영업을 폐지하지 아니하였다는 뜻의 신고를 할 것을 관보로써 공고한 경우에, 그 공고한 날에 이미 최후의 등기후 5년을 경과한 회사로서 공고한 날로부터 2월이내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신고를 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회사는 그 신고기간이 만료된 때에 해산한 것으로 본다. ..
2025.07.10
-
법인회생과 미발생구상채권
미발생구상채권은 보증기관이 채무자를 위하여 '이행보증이나 하자보증 등'을 제공하고 아직 대위변제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래에 대위변제를 할 경우 취득하게 되는 '정지조건부 구상권'을 의미한다. 보증보험계약 또는 기타 보증계약 등을 통해, 서울보증보험 등 보증보험회사, 건설공제조합, 시중은행 등이 대위변제를 하기 이전까지 미발생구상채권을 취득한다. 이러한 미발생구상채권은 대위변제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현실화되지 않은 장래의 채권으로, 미발생구상채권이 회생채권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그 주요한 발생 원인인 보증계약 등이 회생절차 개시 전에 체결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회생채권에는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138조 제2항이 규정하는 장래의 청구권도 포함되는데, 채무자의 연대보증인이 회생절차개시 후에 ..
2025.07.03
-
2025. 06. 13. '여객자동차 운송업체' 회생인가 사례
2025. 06. 13. 법인회생인가 - 대전지방법원 1) 업종 : 여객자동차 운송업 2) 신청원인 : 채무자회사는 1980년 설립된 충청남도 서산시에 소재한 여객자동차 운송업체로, 주로 서산시 관내의 시내 및 농어촌 지역을 운행하는 공공성이 강한 기업이다. 채무자회사가 법인회생절차에 이르게 된 주된 원인은 장기적인 누적 적자와 이에 따른 자금 유동성 위기였다. 특히 코로나19 발생 이후 승객 수가 급감하면서 운송수입이 큰 폭으로 줄었고, 이는 곧 고정비 부담과 맞물려 재무구조 악화를 심화시켰다. 차량 유지비, 인건비, 그리고 사옥 신축에 따른 고정지출이 수익을 상회하면서 현금흐름이 악화되었고, 이에 따라 회사는 금융채무 상환에 차질을 빚게 되었다. 더욱이, 지역 여객운송업 특성상 수익구조가 지자체의..
2025.06.26
-
2025. 06. 12. '소방자재도·소매업체' 회생인가 사례
2025. 06. 12. 법인회생인가 - 수원회생법원 1) 업종 : 소방자재도·소매업체 2) 신청원인 : 채무자는 2008년 설립 이후 건축자재 및 소방자재 도·소매업을 주력으로 꾸준히 사업을 영위해 왔으나, 지속적인 외부 환경의 악화와 내부 재무구조의 취약성으로 인해 결국 회생절차에 들어가게 되었다. 회생절차 신청의 가장 큰 원인은 주요 매출처의 연쇄적인 부도와 폐업으로 인한 매출채권의 미회수이다. 실제로 2011년부터 최근까지 약 20억 원 규모의 외상매출금이 회수되지 못하였고, 이는 회사의 유동성에 심대한 타격을 주었다. 여기에 2020년부터 본격화된 코로나19 팬데믹은 건설현장의 공사 중단과 원자재 가격 급등을 초래하였고, 이미 낮은 단가로 체결된 납품계약을 이행하면서 회사는 구조적인 손실을 ..
2025.06.20
-
임대인 파산과 임차인의 차임/보증금 상계
채무자회생법 제340조 제4항에 따르면, 임대인이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임차인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또는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3조의 대항요건을 갖춘 때에는 미이행쌍무계약에 관한 제335조(파산관재인의 계약 해지권)의 적용이 배제된다. 제335조(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관한 선택) ①쌍무계약에 관하여 채무자 및 그 상대방이 모두 파산선고 당시 아직 이행을 완료하지 아니한 때에는 파산관재인은 계약을 해제 또는 해지하거나 채무자의 채무를 이행하고 상대방의 채무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 제340조 (임대차계약) ④임대인이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임차인이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제335조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대항력 등)제1항의 대항요건을..
2025.06.13
-
2025. 05. 30. '커넥터 제조업체' 회생인가 사례
2025. 05. 30. 법인회생인가 - 수원회생법원 1) 업종 : 커넥터 제조 및 납땜용품 유통업 2) 신청원인 : 채무자는 2007년 자동차커넥터의 유통을 위하여 설립된 이래 매년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였다. 나아가 당시에는 자동차의 커넥터 중 전선연결커넥터를 전량 미국이나 일본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상황이었는데, 채무자는 이를 국내에서 제조하여 유통한다면 이익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아 정책자금을 대출받아 2017년경부터 시설투자를 하였다. 채무자가 생산한 국산 자동차 전선연결커넥터는 검증을 거쳐 국내 자동차회사에 직접 공급되었고, 이에 대한 매출도 조금씩 늘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2020년경부터 예상치 못한 코로나19로 전세계적인 경기불황이 발생하였고 자동차업계 또한 값싼 중국산 제품을 공..
2025.06.09
-
법인회생과 미확정채권
미확정채권은 회생절차에서 채권신고가 이루어졌으나 그 존부나 액수에 관하여 이의가 제기되어 아직 확정되지 않은 채권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채권조사확정절차가 진행 중이어서 아직 회생채권으로 확정되지 않은 채권을 말한다. 미확정채권은 채권의 존부나 액수에 관한 다툼이 있는 채권으로, 정지조건부채권이나 장래의 청구권, 미발생구상채권(대위변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 발생하지 않은 구상채권)과는 구별된다. 제197조(미확정의 회생채권 등) ①이의있는 회생채권 또는 회생담보권으로서 그 확정절차가 종결되지 아니한 것이 있는 때에는 그 권리확정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회생계획에 이에 대한 적당한 조치를 정하여야 한다. ②회생계획에는 제109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신고할 수 있는 채권에 관하여 적당한 조치를 정하여야 ..
2025.06.02
-
2025. 05. 20. '전기난방기기업체' 회생강제인가 사례
2025. 05. 20. 법인회생강제인가 - 수원회생법원 1) 업종 : 가정용 전기난방기기 제조 2) 신청원인 : 채무자는 2013년 12월 TV홈쇼핑 유통 판매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고, 브랜드가 홈쇼핑시장에 널리 알려지며 매출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홈쇼핑시장에서 인지도가 상승함에 따라 채무자는 황토볼 흙침대를 OEM 생산하여 업계 최초로 TV홈쇼핑에서 판매를 하였고, 연 매출 70억 원을 달성하는 등 계속하여 사업이 성장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하여 베트남에서 침대프레임을 수입할 수 없게 되자 배송지연 등을 이유로 구매자들은 주문을 취소하였고 이로 인하여 채무자에게 위약금 등의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였다. 이후 코로나19가 종식되며 채무자는 다시 홈쇼핑에서 주문을 받아 베트남에서 침대프레임..
2025.05.27
-
임금채권에 대한 지연이자
채무자회생법 제179조 제1항 제10호는 '채무자의 근로자의 임금·퇴직금 및 재해보상금'을 공익채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회생절차 개시 전후를 불문하고 '근로자의 임금채권'을 회생채권과 분리하여 공익채권으로 보호하려는 취지이다. 공익채권공익채권은 주로 '회생절차 개시 후'의 원인에 기하여 생긴 청구권으로 일반규정인 법 제179조에...blog.naver.com 제179조(공익채권이 되는 청구권) ①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청구권은 공익채권으로 한다. 5. 채무자의 업무 및 재산에 관하여 관리인이 회생절차개시 후에 한 자금의 차입 그 밖의 행위로 인하여 생긴 청구권 10. 채무자의 근로자의 임금ㆍ퇴직금 및 재해보상금 15. 제1호부터 제8호까지, 제8호의2, 제9..
2025.05.20
-
배우자재산과 청산가치보장
회생절차에서는 '청산가치 보장의 원칙'이 적용된다. 이는 채무자회생법 제243조 제1항(일반회생), 제614조 제1항(개인회생)에 규정된 원칙으로, 채권자들이 회생절차를 통해 받게 되는 변제액이 청산절차를 통해 받게 될 배당액보다 적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이다. 제243조 (회생계획인가의 요건) ①법원은 다음의 요건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회생계획인가의 결정을 할 수 있다. 4. 회생계획에 의한 변제방법이 채무자의 사업을 청산할 때 각 채권자에게 변제하는 것보다 불리하지 아니하게 변제하는 내용일 것. 다만, 채권자가 동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614조(변제계획의 인부) ①법원은 개인회생채권자 또는 회생위원이 이의를 진술하지 아니하고 다음 각호의 요건이 모두 충족된 때에는 변제계획인가결정..
2025.05.15
-
회생절차의 M&A와 '제3자 배정의 방식'의 신주발행
권용민변호사의 기업회생 회생절차에서 M&A를 진행하는 경우, 인수자는 기본적으로 종전 주주들의 주식을 매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회생회사가 새롭게 발행하는 신주를 인수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를 '제3자 배정 방식의 신주발행(회사가 신주를 발행할 때 기존 주주가 아닌 제3자에게 우선적으로 신주를 인수할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을 통한 M&A라고 한다. 회생절차에서 M&A의 종류M&A는 시행시기에 따라 ①회생절차 개시신청 전 진행된 M&A, ②회생절차개시 후 회생계획인가 ...blog.naver.com 회생절차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존 주주의 주식을 대폭 감자한 후, 인수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방식을 취하며, 인수자는 종전 주주들의 주식을 직접 매입하는 것이 아니다. 신주를 인수한 인수자는 감자 후 남은 기..
2025.05.13
-
채권자의 법인회생신청과 재무현황파악
채권자가 법인회생절차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채무자회생법 제34조 제2항에 따른 신청권자의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제34조(회생절차개시의 신청) ①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채무자는 법원에 회생절차개시의 신청을 할 수 있다. 1. 사업의 계속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하지 아니하고는 변제기에 있는 채무를 변제할 수 없는 경우 2. 채무자에게 파산의 원인인 사실이 생길 염려가 있는 경우 ②제1항제2호의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구분에 따라 당해 각호의 각목에서 정하는 자도 회생절차개시를 신청할 수 있다. 1. 채무자가 주식회사 또는 유한회사인 때 가. 자본의 10분의 1이상에 해당하는 채권을 가진 채권자 나. 자본의 10분의 1이상에 해당하는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가진 주주ㆍ지분권자 2. 채무자..
2025.04.30
인기글
-
법인회생 인가후 폐지 - 직권파산선고
회생계획 인가결정이 있은 후 회생계획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 명백하게 된 때에 법원은 관리인이나 목록에 기재되어 있거나 신고한 회생채권자 또는 회생담보권자의 신청에 의하거나 직권으로 회생절차 폐지의 결정을 하여야 한다(법 제288조). 이를 라고 하는데, 이 경우 법원은 직권으로 파산선고(견련파산)를 한다(법 제6조 제1항).제6조(회생절차폐지 등에 따른 파산선고) ①파산선고를 받지 아니한 채무자에 대하여 '회생계획인가'가 있은 후 '회생절차폐지' 또는 간이회생절차폐지의 결정이 확정된 경우 법원은 그 채무자에게 파산의 원인이 되는 사실이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직권으로 파산을 선고하여야 한다.④제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파산선고가 있는 경우 제3편(파산절차)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그 파산..
2024.05.16
-
임대인의 법인회생과 임대차계약
절차를 진행하는 경우 임대차계약의 효력, 임료지급, 보증금반환청구권 등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문제된다. ①우선 의 경우 관리인은 당해 임대차계약이 미이행 쌍무계약이라는 이유로 임대차계약을 해지할 수 없다(법 제124조 제4항). 임차인이 대항요건을 갖추었는지 여부는 임대인에 대해 회생절차가 개시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개시결정의 효력 - 쌍방미이행 쌍무계약회생절차가 개시되더라도 종래의 법률관계는 단절되지 않고 동일성을 유지한다고 보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blog.naver.com 다만 대항력을 구비한 임차인에 대해 제119조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임차인의 채무불이행이 있는 경우 관리인은 민법의 일반규정에 따라 임대차계약을 해지할 수는 있다. 제124조(임대차계약 등) ④임대인인 채무자..
2024.03.19
-
법인회생과 체불임금/퇴직금
법인회생절차는 파산절차와 달리 채무자인 법인의 사업을 청산하는 것이 아니라, 채무자인 법인의 사업을 계속하여 그 회생을 목적으로 하는 절차이므로 법인회생절차가 개시되더라도 채무자와 근로자 사이의 근로계약이 바로 소멸되는 것이 아니다. 다만, 회생절차개시결정이 있으면 업무수행권과 재산관리처분권이 법원이 선임한 관리인(대부분 종전 대표자)에게 전속되고 사용자가 기존의 경영자에서 관리인으로 변경될 뿐이다.법인회생절차가 개시되더라도채무자와 근로자 사이의 근로계약이 바로 소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법인회생절차가 개시되더라도 파산절차가 진행되지 않는 한 근로관계는 그대로 존속하며 관리인은 일방적으로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없고, 근로자는 체불임금을 이유로 근로의 제공을 거부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다. ..
2024.07.01
-
M&A 절차 - ③인수제안서의 제출과 평가
M&A는 관리인의 '매각 공고'에서부터 시작된다. 이후 채무자회사에 대해 인수의향이 있는 업체는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하고 채무자회사와 비밀유지약정을 체결한 후, 채무자회사의 보다 자세한 자료를 검토하고 예비실사에 참여한다. 관리인이 인수의향자들에게 입찰안내서 등 입찰서류를 교부하면 인수희망자들은 '인수제안서'를 제출한다. 인수제안서를 제출받은 채무자회사는 이들 중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후, 우선협상대상자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이행보증금을 납부받는다. 우선협상대상자는 양해각서 체결 후 채무자회사를 실사하고, 실사내용을 바탕으로 채무자회사와 대금조정 등 계약에 관한 협상을 하며, 협상이 마무리되면 채무자회사와 본계약을 체결한다. 사안에 따라 이 절차를 모두 거치는 경우도 있고, 일부 절차..
2023.09.01
-
회생절차에서 M&A의 종류
M&A는 시행시기에 따라 ①회생절차 개시신청 전 진행된 M&A, ②회생절차개시 후 회생계획인가 전 M&A, ③회생계획 인가 후 M&A로 분류할 수 있다. ①는 회생절차 개시신청 전에 '인수예정자'를 확보하고 개시신청을 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인수예정자가 채무자를 인수할 의향은 있으나 회사의 자산 대비 부채규모가 과다하고 잠재부실의 가능성이 있어 인수가 꺼려지는 경우, 채무자의 신용하락에 의한 사업훼손을 미리 방지하고 회생절차를 통해 부채의 상당 부분을 탕감 받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는 특히 '스토킹 호스(Stalking-horse bid)' 방식과 결합될 경우 회생절차를 조기에 종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채무자가 법인회생 개시전에 미리 '조건부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회생..
2023.08.23
-
출자전환과 채권자의 대손 처리
법인회생이나 워크아웃에서 '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이 출자전환된 경우 일반적으로 해당 주식의 시가는 채권가액에 미달하기 마련이다. 이때 회생법인이나 부실징후기업은 '채무면제익'을 얻지만 이는 주로 이월결손금 보전에 충당되어 사실상 회생법인 등의 채무자는 채무면제익에 대하여 법인세를 부과받지 않는다. 출자전환과 채무면제익의 과세‘회생계획’은 채무자 또는 그 사업의 효율적인 회생을 위한 계획으로서 이해관계인에 대한 권리변경 및 ...blog.naver.com 그렇다면 이러한 경우 채권자법인도 ①'채권가액과 해당 주식 시가와의 차액'을 손금산입하여 법인세법상 과세소득을 줄일 수 있는지, ②납부하거나 납부할 부가가치세와 관련하여 '대손세액공제'를 인정받을 수 있는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제19조의2..
2024.01.15
-
회생절차 조기종결
채무자가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후 '회생계획안 인가결정'을 받으면, 채무자는 원칙적으로 회생계획안의 계획대로 10년 동안 '감축된 채무액'을 매년 분할하여 변제해야 한다. 그리고 '회생절차에서 인가결정'을 받더라도 회생절차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므로 관리인은 여전히 ㉠자금집행 등 일정한 사항에 대하여 '법원 또는 관리위원의 허가'를 받고, ㉡'월간보고서 등도 제출'해야 한다. 제283조 (회생절차의 종결) ①회생계획에 따른 변제가 시작되면 법원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의 신청에 의하거나 직권으로 회생절차종결의 결정을 한다. 다만, 회생계획의 수행에 지장이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관리인2. 목록에 기재되어 있거나 신고한 회생채권자 또는 회생담보권자②법원이 ..
2024.10.24
-
파산채권자의 '대손세액공제' 처리
파산채권자가 채무자의 법인파산으로 인하여 외상매출금을 회수할 수 없게 된 경우, 파산채권자는 실질적으로 채무자로부터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지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부가가치세를 납부하여야 하고, 채무자는 매입세액을 공제받아서 부가가치세를 납부하지 아니하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부가가치세법상 공급자인 파산채권자 '대금의 수령시'가 아니라 '공급시기(재화나 용역의 공급시기)'에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에 부가가치세를 신고ㆍ납부하여야 하는데, 채무자가 외상거래를 한 이후 법인파산절차를 진행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이러한 불합리가 발생하게 된다.제45조(대손세액의 공제특례) ①사업자는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외상매출금이나 그 밖의 매출채권(부가가치세를 포함한 ..
2024.05.12
-
법인파산과 가지급금
①법인파산에서 문제가 되는 가지급금은 ㉠일반적인 가지급금과 ㉡분식된 가지급금이 있다. ㉠일반적인 '가지급금'이란 법인이 임직원, 주주 등에게 일시적으로 대여한 금액을 기록하는 회계상 가계정으로, 향후 반환받을 것을 전제로 지급한 금액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지급금은 법인의 자산으로서 파산재단에 포함되므로, 파산관재인은 가지급금을 회수하여 파산재단에 회복시킨 후 이를 채권자들에게 배당하여야 한다. 따라서 파산관재인은 가지급금의 존재와 범위를 확인한 후 가지급금의 채무자(대표자 등)에게 반환 청구를 하고, 임의반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소송 등을 통해 강제로 회수하여야 한다. ㉡그리고 '분식된 가지급금'이란 실질은 가지급금이나 다른 계정으로 처리된 것(법인의 자금이 대표이사 등 임원에게 유출되었음에도..
2025.04.15
-
회생계획에 따른 자본감소/출자전환
회생계획안에는 자본의 감소, 신주나 사채의 발행, 정관의 변경 등 회생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채무자회생법 제193조 제2항). 회생계획안 - 개요‘회생계획’이란 채무자 또는 그 사업의 효율적인 회생을 위한 계획(예외적으로 청산을 내용으로 하는 회...blog.naver.com 이러한 특례가 인정되는 이유는 회생절차의 목적인 채무자의 효율적인 회생을 달성하기 위해서이며, 이러한 예외는 법원의 인가를 받은 회생계획안의 범위 내에서만 허용된다. 그리고 회생계획안은 ㉠법률 규정을 위반하지 않을 것, ㉡공정하고 형평에 맞을 것, ㉢수행 가능할 것이라는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법 제231조). 제193조(회생계획의 내용)①회생계획에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1.회생채권자ㆍ..
2025.01.16
-
법인회생과 미확정채권
미확정채권은 회생절차에서 채권신고가 이루어졌으나 그 존부나 액수에 관하여 이의가 제기되어 아직 확정되지 않은 채권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채권조사확정절차가 진행 중이어서 아직 회생채권으로 확정되지 않은 채권을 말한다. 미확정채권은 채권의 존부나 액수에 관한 다툼이 있는 채권으로, 정지조건부채권이나 장래의 청구권, 미발생구상채권(대위변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 발생하지 않은 구상채권)과는 구별된다. 제197조(미확정의 회생채권 등) ①이의있는 회생채권 또는 회생담보권으로서 그 확정절차가 종결되지 아니한 것이 있는 때에는 그 권리확정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회생계획에 이에 대한 적당한 조치를 정하여야 한다. ②회생계획에는 제109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신고할 수 있는 채권에 관하여 적당한 조치를 정하여야 ..
2025.06.02
-
파산절차의 종료①-배당에 의한 종료
법인파산절차의 종료에는 ①파산의 종결, ②파산의 폐지, ③파산의 취소가 있다. 이 중에서 '파산의 종결'은 법인의 재산을 환가하여 현금화한 후 '배당절차'를 마치고 파산절차를 종료하는 것으로 이 경우 법원이 '파산종결결정'을 한다. 이러한 파산종결결정에 관하여는 법률상 불복방법이 없으므로, '파산종결결정'과 동시에 파산절차는 종료한다. 법원의 파산종결결정이 있으면 파산관재인의 임무는 종료하고, 잔여재산이 없는 한 채무자인 법인의 '법인격은 소멸'한다. 따라서 자연인 파산자에 대하여 배당·변제되지 않은 잔여채무에 대한 변제책임을 면제하기 위한 절차인 '면책'절차는 법인의 경우 필요하지 않다. 배당이라 함은 파산관재인이 환가한 파산재산을 법정의 절차를 거쳐 채권의 순위, 채권액에 따라 각 파산채권자에..
2023.12.11
-
법인회생절차의 폐지
권용민변호사의 기업회생 으로 법인회생절차는 종료하는데, 법인회생절차의 폐지는 ①와 ②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회생절차 폐지결정에 대하여 즉시항고가 제기된 경우에는 바로 확정되지 아니하므로, 즉시항고의 취하, 즉시항고장 각하결정, 항고기각 결정의 확정 등이 있을 때까지 관리인은 관리인으로서의 업무를 그대로 수행하여야 한다. ① 관리인의 지위와 권한이 소멸하고, 채무자의 권한이 회복된다. 또한 그 동안 법인회생절차로 인하여 제한되었던 채권자의 개별적 권리행사 제한도 해소되어 채권자는 개별적으로 강제집행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②에는 법원이 직권으로 채무자에 대하여 '법인파산' 선고를 내리므로 파산절차에 따라 채무자 재산이 청산된다(법 제6조 제1항). ①는 회생계획안의 인가 ..
2023.09.19
-
시ㆍ부인시 주의사항
관리인은 채권조사기간 내에 시부인표를 작성하여 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 만일 관리인이 위 기간 내에 시부인표를 법원에 제출하지 아니하면 목록에 기재되거나 신고된 채권을 모두 시인한 결과가 되어 채권이 그대로 확정되므로, 시부인표의 제출 기간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전자소송 오류로 전자접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던 중에 조사기간(24시)이 도과하여 관리인이 채권조사기간 말일까지 시부인표를 제출하지 않은 결과가 되고, 이에 따라 신고된 모든 채권을 시인한 것으로 간주된 사례도 있다. 이러한 경우 원래 부인하였어야 할 부분의 채권에 관하여 관리인이 채권자에게 신고 철회 또는 채무부존재 확인서를 제출하도록 협조를 구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도 있으나, 사전에 제출기한 이내에 시부인표가 제대로 제출되도록 관리..
2023.08.17
-
임금채권에 대한 지연이자
채무자회생법 제179조 제1항 제10호는 '채무자의 근로자의 임금·퇴직금 및 재해보상금'을 공익채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회생절차 개시 전후를 불문하고 '근로자의 임금채권'을 회생채권과 분리하여 공익채권으로 보호하려는 취지이다. 공익채권공익채권은 주로 '회생절차 개시 후'의 원인에 기하여 생긴 청구권으로 일반규정인 법 제179조에...blog.naver.com 제179조(공익채권이 되는 청구권) ①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청구권은 공익채권으로 한다. 5. 채무자의 업무 및 재산에 관하여 관리인이 회생절차개시 후에 한 자금의 차입 그 밖의 행위로 인하여 생긴 청구권 10. 채무자의 근로자의 임금ㆍ퇴직금 및 재해보상금 15. 제1호부터 제8호까지, 제8호의2, 제9..
2025.05.20
-
법인회생과 강제집행 등
회생계획인가결정이 있으면 채무자는 회생계획이나 법의 규정에 의하여 인정된 권리를 제외한 모든 회생채권과 회생담보권에 관하여 그 책임을 면하고 주주·지분권자의 권리와 채무자의 재산상에 있던 모든 담보권은 회생계획에서 달리 정하지 않은 경우 소멸한다. 따라서 채권신고를 하지 않고 채권자목록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회생채권 등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회생계획인가결정으로 실권된다. 그리고 회생계획 인가결정(선고시O, 확정시X)이 있는 때 회생개시결정의 효력으로 당연 중지된 강제집행 등(파산절차, 강제집행, 가압류, 가처분, 담보권실행 등을 위한 경매절차)의 절차는 그 효력을 잃으며(법 제256조 제1항), 추후 관리인은 '실효된 위 절차'의 외관을 제거하기 위하여 신청법원이나 집행법원에 기존에 이루어진 절차의..
2024.04.04
-
회생채권 등의 추완신고
신고기간 경과 후에는 '목록에 기재되지 않고 신고도 되지 않은 회생채권이나 회생담보권'은 '회생계획 인가시'에 실권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법원이 회생절차개시결정시 정한 신고기간은 모든 회생채권자나 회생담보권자에게 통지되는 것이 아니고, 공고로서 회생절차개시결정을 송달한 것으로 갈음하기 때문에 회생채권자 등이 신고기간 이내에 신고를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법은 ①회생채권자 등이 그 '책임을 질 수 없는 사유(예컨대 채무자의 회생개시사실을 알지 못한 경우 등)로 인하여 신고기간안에 신고를 하지 못한 때'에는 그 사유가 끝난 후 1월(불변기간) 이내에 그 사유를 소명하는 자료를 첨부하여 추후보완신고를 할 수 있고(법 제152조), 나아가 ②'신고기간이 경과한 후에 생긴' 회생채권 등에 ..
2023.08.17
-
개시결정의 효력 - 주주총회·이사회 권한 제한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주주총회ㆍ이사회의 권한은 상당 부분 제한된다. ①우선 주주총회의 경우, 주주총회의 권한 중 '영업 또는 사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는 회생계획 인가 전이라도 관리인이 법원의 허가를 받아 할 수 있고(법 제62조), 회생계획 인가 후에는 회생계획에서 정한 내용에 따라서 한다(법 제200조). 자본감소, 신주ㆍ사채발행, 자본증가, 주식의 포괄적 교환ㆍ이전, 합병ㆍ분할ㆍ분할합병 또는 조직변경, 해산 또는 회사의 계속, 이익배당 등은 회생절차 개시 후에는 모두 회생절차에 의하여만 가능하다(법 제55조 제1항). 이사ㆍ감사의 선임ㆍ해임권은 회생계획 인가 시까지는 그대로 주주총회가 보유하지만, 회생계획 인가 시부터는 회생계획에서 정한 바에 따른다. 채무자의 이사를 선임하거나 대표이..
2023.08.15
-
임대인 파산과 임차인의 차임/보증금 상계
채무자회생법 제340조 제4항에 따르면, 임대인이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임차인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또는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3조의 대항요건을 갖춘 때에는 미이행쌍무계약에 관한 제335조(파산관재인의 계약 해지권)의 적용이 배제된다. 제335조(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관한 선택) ①쌍무계약에 관하여 채무자 및 그 상대방이 모두 파산선고 당시 아직 이행을 완료하지 아니한 때에는 파산관재인은 계약을 해제 또는 해지하거나 채무자의 채무를 이행하고 상대방의 채무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 제340조 (임대차계약) ④임대인이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임차인이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제335조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대항력 등)제1항의 대항요건을..
2025.06.13
-
가집행과 법인회생
가집행선고는 '미확정의 종국판결'에 대하여 집행력을 부여하는 형식적 재판이다. 민사소송법 제213조는 "재산권의 청구에 관한 판결은 가집행의 선고를 붙이지 아니할 상당한 이유가 없는 한 직권으로 담보를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아니하고 가집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선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가집행의 선고부 판결은 선고에 의하여 바로 효력이 생기며, 그 판결에 대하여 상소가 제기된 경우에도 효력은 정지되지 않는다(민사집행법 제24조). 다만 이 경우에 법원이 집행정지 등의 조치를 하는 때에는 예외이다. 가집행선고는 '미확정의 종국판결'에 대하여집행력을 부여하는 형식적 재판으로,선고에 의하여 바로 효력이 생기며그 판결에 대하여 상소가 제기된 경우에도 효력은 정지되지 않는다. 가집행의 선고..
2024.12.13
-
계속기업가치의 산정
'청산가치보장의 원칙'은 ㉠회생절차개시의 요건이면서(법 제42조 제3호), ㉡회생절차존속의 요건이고(법 제286조 제2항), ㉢회생계획인가의 요건이기도 하다(법 제243조 1항 4호). 이는 구체적으로 '계속기업가치가 청산가치보다 커야' 회생절차가 개시되고, 존속되며, '회생계획안의 인가'도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특히 회생계획안은 '계속기업가치'를 기준으로 수립되고 이를 통해 '채권자들에게 분배할 금액'도 결정되는데, 채권자가 회생계획에 따라 변제받는 금액이 파산절차에서 변제받는 금액(청산가치)이상이어야 회생계획안도 인가될 수 있다(법 제243조 1항 4호). 청산가치보장의 원칙m.blog.naver.com 이와 같이 '청산가치보장의 원칙'은 를 전제로 하는 원칙이다. 여기서 란 회생절차에서 채무자 ..
2024.11.12
-
법인회생과 하도급대금직접청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하도급법) 제14조는 발주자(도급인)가 하수급인에게 하도급대금을 직접 지급하여야 하는 사유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는 ㉠'직접지급 합의' 또는 ㉡'직접지급의 요청'에 따라 발주자에게 하도급대금의 직접지급의무를 부담시킴으로써 하수급인을 수급인과 그 일반채권자에 우선하여 보호하는 규정이다. 하도급법 제14조 제1항은 하도급업자가 발주자에게 하도급대금의 직접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 사유를 규정하고 있다. 이 경우 발주자(도급인)는 도급대금채무의 범위에서 하수급인에 대한 직접지급의무를 부담하고, 이와 동시에 하수급인의 원사업자(수급인)에 대한 하도급대금채권과 발주자(도급인)의 원사업자(수급인)에 대한 도급대금채무는 모두 소멸한다(하도급법 제14조 제2항). 제14조(하도..
2024.09.04
-
은행의 상계가 금지되는 예금
일반적으로 법인이 회생절차를 신청할 경우, 채권자인 은행 등 금융기관은 '회생법인이 가진 예금채권'을 지급정지한 이후 '은행 등 금융기관이 회생법인에 대하여 가진 대출채권'과 상계를 진행한다. 법인회생과 예대상계m.blog.naver.com 법인이 회생절차를 신청하는 경우 은행 등 금융기관은 에 따라 ㉠파산, 회생의 신청이 있는 채무자의 대출채무 등에 대한 기한이익을 상실시키고, ㉡그 채무자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 대하여 가진 예금채권의 지급을 정지한 후, ㉢ '회생법인이 가진 예금채권'과 '은행 등 금융기관이 가진 회생법인에 대한 대출채권'을 상계하는 것이다. 법인이 회생신청을 하는 경우은행 등 금융기관은 ㉠법인의 대출채무에 대한 기한이익을 상실시키고, ㉡법인이 가진 예금채권의 지급을 정지시키며, ..
2024.09.04
-
회생계획안 - 채권별 권리변경 및 변제방법
①의 경우 해당 담보물을 매각하여 그 매각대금으로 우선 변제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해당 담보물이 영업용 자산인 경우나, 또는 안정적인 영업을 유지하기 위해 '매각 후 재임차(Sale & Lease back)' 방식을 활용하거나, 일정 기간 변제유예, 회생기간 중 분할변제 등의 변제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회생담보권의 경우 변제시점에 따라 변제할 금액의 실질적인 현재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낮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개시 후 이자를 지급하는 것으로 변제방법을 정하여 총 변제금액의 현재가치가 청산가치를 보장하도록 회생계획안을 작성한다. 회생담보권이지만 담보물이 다르거나 담보권 순위에 따라 청산시 배당률이 다른 경우에는 담보권자 간에 변제방법에 차등을 두더라도 평등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
2023.08.18
-
채권의 조사 - 시ㆍ부인
회생채권ㆍ회생담보권에 대한 조사는 목록에 기재되거나 신고된 회생채권ㆍ회생담보권에 관하여 그 존부, 내용과 원인, 의결권 등의 진실 여부를 검토ㆍ확정하는 과정이다. 통상적으로 관리인이나 이해관계인이 목록에 기재되거나 신고된 내용을 시인하거나 부인한다는 점에서 '시ㆍ부인'이라고도 한다. ①목록에 기재되거나 신고기간 내에 신고된 회생채권ㆍ회생담보권은 회생절차개시 당시 정해진 ‘채권조사기간’에 조사한다(법 제161조). 조사대상은 목록에 기재되거나 신고서에 기재된 '회생채권과 회생담보권 등'이며, 조사내용은 '채권의 내용과 원인, 의결권의 액수, 일반의 우선권이 있는지 여부, 담보권의 목적과 가액 등'이다. 국세, 지방세 등 조세채권과 벌금ㆍ과태료 등은 행정소송, 형사소송 등 정해진 절차에 의하여 불복하여..
2023.08.17
-
회생계획인가 이후 재회생신청
채무자는 ① '사업의 계속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하지 아니하고는 변제기에 있는 채무를 변제할 수 없는 경우, 또는 ② 채무자에게 '파산의 원인인 사실'이 생길 염려가 있는 경우 에는 회생절차 개시의 신청을 할 수 있다(법 제34조 제1항). 회생개시의 신청채무자는 ① '사업의 계속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하지 아니하고는 변제기에 있는 채무를 변제할 ...blog.naver.com 회생절차(1차 회생절차)를 진행하여 법원으로부터 회생계획 인가를 받은 이후 회생절차가 조기종결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조기종결 이후에도 계속 회생계획을 수행 중이지만, 절차상으로는 새로운 회생절차 신청이 가능하다.따라서 인가받은 회생계획을 수행하던 법인이 ① '사업의 계속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하지 아니하고는 변제..
2025.03.28
-
법인회생과 공탁금회수
회생채무자에게 회생개시결정이 내려지기 이전에 가 있다. 그런데 이후에 '채무자에 대한 회생개시결정'이 내려지면, 회생채권자 등이 채무자의 회생개시 이전에 행한 '채권가압류' 또는 '압류 및 전부/추심명령' 등의 강제집행은 중지된다(법 제58조). 그리고 회생채권자의 '채권가압류' 또는 '압류 및 전부/추심명령' 등의 강제집행이 채무자회생법 제58조에 따라 중지된 경우, ①'제3채무자가 법원에 공탁한 공탁금'은 회생개시결정을 받은 회생채무자가 회수할 수 있는지, ②회수할 수 있다면 언제 회수할 수 있는지 등이 문제된다. 제248조(제3채무자의 채무액의 공탁) ①제3채무자는 압류에 관련된 금전채권의 전액을 공탁할 수 있다. ②금전채권에 관하여 배당요구서를 송달받은 제3채무자는 배당에 참가한 채권자의 ..
2025.02.26
-
법인파산/회생과 신용정보
'신용정보'란 금융거래 등 상거래에서 상대방의 신용을 판단할 때 필요한 정보로서, 이에는 과 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다(신용정보법 시행령 제2조 14항). 그리고 이러한 '신용정보'는 이를 종합적으로 수집관리하는 '신용정보원의 공동전산망'을 통하여 개별 금융기관들이 확인할 수 있으며, 개별 금융기관들은 이를 신규여신거래나 금융거래 등에 활용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1.“신용정보”란 금융거래 등 상거래에서 거래 상대방의 신용을 판단할 때 필요한 정보로서 다음 각 목의 정보를 말한다.가. 특정 신용정보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나목부터 마목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보와 결합되는 경우만 신용정보에 해당한다)나. 신용정보주체의 거래내용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다...
2024.12.24
-
파산법인의 법인세 문제①
법인파산에서는 '분식회계에 따른 법인세의 환급'이나 '파산절차에서 발생하는 채무면제이익 및 파산절차상 부동산 양도에 따른 양도차익에 대한 법인세 부과' 등이 주로 문제된다. 일반적으로 법인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소득은 ㉠'각 사업연도 소득'과 ㉡'청산소득'으로 나누어 지는데,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당해사업연도가 종료하는 때 성립하고, '청산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당해 법인이 해산 또는 합병하는 때 성립한다. 다만 파산법인에 대한 법인세 과세의 기준이 되는 '사업연도'에 관하여 법인세법 제8조는 ㉠'그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파산등기일'까지의 기간과 ㉡'파산등기일의 다음날부터 그 사업연도종료일까지의 기간'을 각각 별도의 사업연도로 보고(제1항), ㉢청산중에 있는 내국법인의 잔여재산의 가..
2024.05.09
-
파산절차상 상계권
채무자에 대하여 파산절차가 개시되면 파산채권은 파산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이를 행사할 수 없다(법 제424조). 이를 개별행사금지의 원칙이라고 한다. 그러나 파산채권자가 파산선고 당시 채무자에 대하여 채무를 부담하고 있는 경우 파산절차에 의하지 않고 상계를 할 수 있다(법 제416조). 상계권이란 파산자에 대하여 채무를 부담하는 채권자가 파산채권과 그 채무를 파산절차에 의하지 않고 상계하는 권리이다. 예컨대, A가 파산자에게 1억 원의 대여금채권이 있는 반면, 파산자가 A에 대하여 6,000만 원의 대금채권이 있을 경우 A는 파산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 A의 위 채권과 파산자의 채권을 대등액에서 상계시킬 수 있는 것이다. A가 상계권을 행사하게 되면 A는 파산자에 대하여 4,000만 원의 채권만 가..
2023.11.27